본문 바로가기

Noob과 Dummy를 위한 콘텐츠 사용 가이드

다운로드한 미드, 영화, 예능 보기 - KODI : 콘텐츠 종류별 (1)



위의 글 표 중 첫번째 콘텐츠 종류인 

내 저장소에 있는 콘텐츠 파일을

TV에서 보기 위해 

KODI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겠다.


KODI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경우가 바로 이런 경우라고 보인다.


KODI는 


다른 종류의 미디어 플레이어 (MX Player, nPlayer, VLC)나 미디어 서버/클라이언트 (Plex, Emby)와 비교할 때 

화질이 가장 뛰어나고, 

콘텐츠 관리가 편리하며, 

(개인적으로는) 플레이어 컨트롤이 가장 편리하다


우선 쉴드TV에 KODI를 설치해서 사용하는 경우는 아래 그림과 같을 것이다.





토렌트로 콘텐츠를 다운로드하거나 복사해오거나 블루레이를 립해서 파일을 만들거나 해서 콘텐츠가 나의 저장소(Storage)에 저장된 상태부터 설명한다.



저장소의 종류


앞의 포스팅에서 저장소 종류에 대한 글들이 많다는 얘기를 했었다. 콘텐츠 파일이 양이 많고 4K 처럼 파일의 크기가 클수록 저장소에 대한 관심들이 더 커지는 상황이고, 이건 앞으로도 계속될 것 같다.


PC 하드나 SSD


가장 일반적이고 처음에는 누구나 이런 환경에서 시작한다. 하지만 TV에서 콘텐츠를 보기 위해 PC를 항상 켜둬야 하는 상황이라 불편한 점이 있기 때문에 PC와 상관없는 저장소를 많이 생각하게 된다.



NAS (시놀로지, QNAP, WD 같은 전용NAS, 공유기USB에 외장하드를 연결한 간이NAS, 헤놀로지로 PC등을 NAS로 쓰는 자작NAS등이 있다)


앞에서 얘기한 PC없이 저장소를 사용할 용도 이외에도, 저장할 용량이 많거나, 콘텐츠를 여러명이 동시에 사용해야 하는 필요들 때문에 NAS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다. 특히 시놀로지, QNAP등은 NAS 자체에 자체 Linux와 앱스토어 기능을 제공해서 토렌트 다운로드, Plex 서버 실행등도 할 수 있기 때문에 쉴드TV가 아니라 NAS를 저장소 겸 미디어센터로 사용하는 사람들도 많다.


아이피타임 공유기 중에 외장하드를 연결해서 NAS처럼(smb 서버로 작동) 쓰게 해주는 모델들도 있다.


헤놀로지는 시놀로지 펌웨어를 일반 x86 하드웨어에서 쓸 수 있게 해주는 공개소프트웨어로서 안쓰는 PC나 노트북에 헤놀로지를 설치해서 NAS로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이걸 자작 NAS라고들 부른다.



클라우드 ( 구글 G Suite )


아마존 클라우드가 무제한 용량을 제공하다가 중단된 2-3년전 부터 대체 클라우드로 구글 G Suite 가 5명 가입자에 가입자당 10불/월 요금으로 무제한 용량을 제공한다는게 알려지면서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5명 이상씩 계모임처럼 모여서 무제한 용량 계정을 만들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초기에는 하루 업로드 용량제한이 없었지만 하도 엄청나게 업로드하는 용자들 때문에 지금은 하루 750GB 용량제한을 두고 있다. 주로 국내 TV프로그램을 녹화해서 올려놓고 가족, 친구들이 같이 보는 용도로 쓰는 경우가 제일 많고, 어른용 콘텐츠를 집안의 저장소에 두기 싫은 사람들도 많이 이용하는 듯 하다.



쉴드 TV에 직접 연결한 외장하드나 외장SSD


밑에서도 설명하겠지만, 직접 연결하면 속도가 빠르지 않을까 해서 연결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집안의 같은 공유기에 NAS나 PC가 연결되었고, 랜 속도가 Gbit이면서 특별히 속도가 느린 하드디스크를 NAS용으로 쓰지 않는 이상 4K 영화를 보더라도 smb 연결과 직접 연결의 속도 차이를 느끼기는 어렵다. 


다른 문제들이 오히려 많을 수 있기 때문에 직접연결은 별로 권장하지 않는다.



NFS나 SMB서버에 연결한 외장하드나 내장하드


라즈베리 파이(Raspberry PI) 같은 임베디드 단말을 NAS용으로 쓰는 경우도 있다. 



드TV나 KODI가 저장소에서 파일을 읽어오는 방법 - smb 연결



smb 연결은 쉴드TV가 같은 네트웍(집 안의 같은 공유기에 연결되어 있는)에 있는 저장소와 연결하는 기본 방법이다. 


* KODI는 쉴드TV와 상관없이 자체 내장한 smb 연결 외에도 몇가지 방법을 더 제공하지만, 굳이 이 방법을 쓸 필요는 없다.

  윈도우 PC나 MAC을 사용해서 쉴드TV를 관리하려면 smb 연결이 가장 쉽고 편리한 방법이다.


smb 연결로 사용할 때 알아두어야 할 점들이 있다.


1. smb 연결에는 smb 서버와 smb 클라이언트가 필요하다.

2. 쉴드 TV는 smb 서버/클라이언트 2가지 다 기본 설치되어 있다.

3. 윈도우 PC나 MAC도 smb 서버/클라이언트 2가지 다 기본 설치되어 있다. 윈도우의 경우 '공유' 폴더를 만들면 그게 smb share가 되어 smb 클라이언트가 연결할 수 있게 된다.

4. 내가 다른 저장소의 파일을 보려면 나는 smb 클라이언트 기능이 있어야 하고, 저장소는 smb 서버에서 share되어 있어야 한다.

5. smb 클라이언트로 smb 서버로 연결하는 것을 mount라고 부르고, mount된 smb 서버의 저장소 폴더들은 network storage라 부른다


쉴드TV에서 smb 클라이언트로 다른 smb 서버로 연결(mount)을 해두면, 쉴드TV에 설치한 KODI에서 다른 저장소의 파일을 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쉴드TV에서 smb mount 방법 (영어 메뉴로 쉴드TV를 쓰고 있기 때문에 모든 메뉴명은 영어로 되어 있다)



쉴드TV Settings -> 

Storage & reset -> 

Mount network storage -> 

Available Network Storage에서 연결할 smb 서버 선택 -> 

ID/암호 연결이나 GUEST 연결 선택 -> 

My Network Storage에 연결된 것 확인 



네트웍 저장소가 마운트된 후에 쉴드TV에 X-Plore를 설치하고 확인해보면 네트웍 저장소의 폴더와 파일들이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만약 윈도우PC에서 폴더를 '공유'해뒀는데도, 마운트가 되지 않거나 Available Network Storage에 윈도우PC가 나타나지 않으면 윈도우10의 '윈도우 기능 켜기 / 끄기'에서  smb 1.0 지원기능을 on해줘야 한다. 





쉴드TV나 KODI가 저장소에서 파일을 읽어오는 방법 - 직접 연결



쉴드TV에 있는 2개의 USB 포트에 USB메모리, 외장하드나 외장SSD를 연결해서 쓸 수 있다. 쉴드TV는 외부 저장소를 아래 3가지로 구분한다. 


Network Storage   : smb 연결된 네트워크 저장소, 사용자가 파일을 읽거나 쓸 수 있다


Internal Storage (Device Storage) : 쉴드TV 앱을 설치할 수 있는 저장소, 사용자는 파일을 읽거나 쓸 수 없다


External Storage (Removable Storage) : NVIDIA_SHIELD라는 폴더 자동생성.  이 폴더 파일만 쉴드TV에서 인식



Internal Storage (Device Storage)


안드로이드 앱을 설치하는 추가 메모리 확장용으로 쓰기 위해서는 USB 메모리나 외장 SSD를 연결하고 Internal Storage로 설정해야 한다.  가능하면 속도가 빠른 USB 메모리나 외장 SSD를 사용하기를 권장한다.




테스트해본 외장 메모리와 외장SSD


USB 메모리


샌디스크 Ultra Z48 USB3.0 [64G] - 내가 추가하여 사용중인 USB메모리이다. 앱만 설치하여 사용하기에는 사실 너무 큰 용량인 느낌이다.




외장 SSD


샌디스크 Ultra 3D NAND SSD 250GB + 오리코 2577U3 SSD HDD USB3.0 외장케이스  : 외장SSD를 앱 저장용으로 사용할 때는 리니어 읽기/쓰기 속도보다 랜덤 읽기/쓰기 속도를 확인해야 하는데, 이 제품은 탑클래스 제품이다.


   




External Storage (Removable Storage)


쉴드TV 외부 저장소를 콘텐츠 파일 저장소로 쓰는 것은 몇가지 이유로 내가 별로 권장하는 방법은 아니다.


쉴드TV에 외장USB 저장소를 연결하고 쉴드TV를 리부팅하면 부팅 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안드로이드 보안정책 때문에 파일이 많을수록 더 느려지게 된다.


쉴드TV에 직접 연결하면 플레이 속도가 빨라질 것 같아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현재는 쉴드TV의 버그 때문에 그다지 안정적이지 못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NAS나 간이 NAS가 없어서 직접 연결로 사용해야만 할 때,


슬립모드가 지원되는 외장하드를 쓰면서 외장하드의 슬립모드 지원을 'on'해서 쓰기를 권한다. 외장하드 연결 후 Settings -> Storage & reset에 들어가보면 외장하드 슬립모드 on 메뉴가 새로 보일 것이다.

외장USB 연결 후 쉴드TV 속도가 느려지거나, 리모컨이 잘 안되거나 하면 우선 연결된 USB포트를 만져보고 온도가 많이 높은 경우 쉴드TV Settings -> System -> USB Mode에서 'Compatibility mode'로 변경해서 사용해야 한다.



위에도 있지만 External Storage로 연결하면 NVIDIA_SHIELD 폴더가 자동생성되고, 여기 있는 파일만 쉴드TV에서 읽고 쓸 수 있다.



KODI 설치


KODI는 현재 v18.0 Leia가 가장 최신 버전이다. Leia는 쉴드TV 구글플레이스토어에서 'KODI'로 검색해서 설치할 수 있다. 구글플레이스토어 설정에서 자동업데이트를 on 해놓으면 최신 버전이 이후 자동으로 업데이트된다.


나는 이미 KODI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라 Apps -> Get more apps로 구글플레이스토어로 들어가서 Kodi 검색해서 찾는 것까지만 보여준다. 설치는 Install 버튼을 눌러서 쉽게 진행할 수 있다.




미드나 해외 영화를 보기 위해서 KODI를 처음 설치해본 사람이면, 설치 후에 보통 아래와 같은 작업을 하고 나면 TV에서 영화를 볼 준비는 끝나게 된다.


비디오 라이브러리 추가 (필수) : 콘텐츠 파일이 있는 나의 저장소 위치를 KODI에 등록하는 것이다.

한글메뉴 설정 (옵션)

한글 키보드 추가 (옵션)

스킨 변경 (옵션) 

필요한 애드온 추가 : 자막지원을 위한 opensubtitles.org 애드온 (옵션)


위의 내용들은 별도 포스팅으로 설명할 예정이다.